-
헌혈은 건강한 사람이 대가 없이 자유의사로 헌혈을 해서 자신의 혈액을 혈액이 부족하여 생명이 위독한 사람에게 기증하는 생명을 나누는 고귀한 행동입니다. 헌혈의 필요성과 과정을 알아보겠습니다.
헌혈의 필요성 헌혈의 필요성
- 혈액은 인공적으로 만들어질 수가 없으며 현재까지 대체할 물질이 존재를 하지 않습니다.
- 세계 각국에선 인류 공통의 윤리에 기반하여 혈액을 상업적으로 유통하는 것을 법으로 규제를 하고 있습니다.
- 살아있는 세포로 구성된 혈액은 장기간 보존이 어려워서 지속적인 헌혈이 이루어져야 합니다.
- 우리나라의 경우 연간 300만명이 헌혈을 해야 수입을 안 하는데 아직 자급자족을 하고 있습니다.
- 누구나 언제든 수혈을 받을 긴급한 상황에 놓일 수가 있는데 건강할 때 헌혈하는 것도 사랑하는 가족과 자신 그리고 우리 모두를 위한 고귀한 행위입니다
혈액의 구성
혈액이란 혈관을 통해 흐르고 있는 체액으로 각종 세포에 산소와 영양분을 공급하고 노폐물을 회수합니다. 혈액은 액체성분인 혈장과 세포성분인 적혈구, 백혈구, 혈소판으로 구성되어 체중의 7~8%를 차지합니다.
적혈구(Red Blood Cells)
참고치: 400~500만개/μL
산소운반
적혈구 한 개당 3백만 개 정도의 헤모글로빈 가짐
산소와 결합된 헤모글로빈은 옥시헤모글로빈(Oxyhemoglobin)이라고 하며 밝은 붉은색을 띰
이산화탄소와 결합하면 카바미노헤모글로빈(Carbaminohemoglobin)로 변하고 검붉은 색 나타냄
백혈구(White Blood Cells)
참고치: 4,000~10,000개/μL
면역시스템을 이루는 세포로 박테리아, 바이러스 등이 침입하면 백혈구 수가 증가되어 신체를 방어함
백혈구에는 호중구(neutrophil), 호염구(basophil,) 호산구(eosinophil), 단구(monocyte) 및 대식세포(macrophage) 등이 있으며 각각의 특화된 면역기능을 가짐.
혈소판(platelets)
참고치: 15~40만 개/μL
손상된 혈관벽에 붙어서 혈액응고를 일으켜 피를 멎게 하는 기능과 감염이나 염증이 있을 때 면역작용을 함.
혈장(plasma)
혈액의 반 이상 차지
생명 유지에 꼭 필요한 전해질, 영양분, 비타민, 호르몬, 효소 그리고 항체 및 혈액응고 인자 등 중요한 단백 성분이 들어있음.
헌혈 과정
출처 대한적십자사 - 헌혈기록카드(전자문진) 작성
- 헌혈상담 : 본인 확인을 위해 신분증을 확인합니다.
- 헌혈경력조회 : 혈액정보관리시스템(BIMS)을 통해 과거헌혈경력과 그 검사결과를 조회합니다.
- 헌혈 전 검사 : 몸무게, 혈압, 맥박, 체온을 측정하고 혈액형 검사(처음 하는 경우에만 해당됨), 빈혈, 혈소판 수 측정, 문진
- 헌혈 (전혈, 성분헌혈 선택하여 할 수가 있습니다.)
- 휴식 및 헌혈증서 수령
- 헌혈 재참여는 전혈을 하였을 경우 8주 후, 성분헌혈을 하였을 경우 2주 후 같은 요일부터 다음 헌혈이 가능합니다. 단, 과거 1년 이내에 전혈헌혈 횟수가 5회이면 전혈헌혈이 제한되며, 과거 1년 이내에 성분헌혈 횟수가 24회일 경우 혈소판성분헌혈, 혈소판혈장성분헌혈이 제한됩니다.
헌혈 후 유의사항
헌혈 당일에 지켜야 할 몇 가지 유의사항을 알려드립니다.
-
- 1 헌혈 중이나 헌혈 후 채혈침대에 누워 있을 때 호흡을 규칙적으로 하면서 다리를 발목 근처에서 꼬고 다리 근육에 힘을 주는 운동을 해주세요. 이 자세는 헌혈 후 발생할 수 있는 저혈압을 예방해 줍니다.
출처 대한적십자사 -
출처 대한적십자사 - 2 헌혈 부위를 10분 이상 눌러 주세요. 문지르면 멍이 듭니다.(헌혈장소를 떠나기 전에 헌혈하신 부위가 완전히 지혈되었는지 반드시 확인해 주세요)
- 3 헌혈부위 반창고는 최소 4시간 이상 붙여 주세요. 헌혈하신 부위에 이물질이 접촉되지 않도록 주의하셔야 합니다.
-
출처 대한적십자사 - 4 헌혈 직후에는 헌혈장소에서 편안한 자세로 15분 이상 휴식을 취해 주세요.
-
출처 대한적십자사 - 5 헌혈 후 탁자 근처에 앉을 경우 양발이 바닥에 닿은 상태에서 탁자에 팔꿈치를 대고 앞쪽으로 기대어 앉아 주세요. 이 자세는 현기증을 느끼거나 실신할 경우 바닥에 쓰러질 가능성을 줄여줍니다.
-
출처 대한적십자사 - 6평 소보다 3~4컵의 물을 더 섭취해 주세요. 손실된 혈액량을 보충하는데 많은 도움이 됩니다.
-
출처 대한적십자사 - 7 당일 음주, 1시간 이내의 흡연은 피해 주세요. 1시간 이내의 흡연은 현기증이나 구토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
출처 대한적십자사 - 8 당일 등산, 과격한 운동, 놀이기구 탑승 등은 피해 주세요. 헌혈한 팔로 무거운 것을 들거나 심한 운동을 할 경우 멍이 들 수 있습니다.
-
출처 대한적십자사 - 9 당일 가벼운 샤워는 괜찮지만 사우나, 찜질방, 통목욕은 수분 손실이 많으니 피해 주세요.
-
출처 대한적십자사 - 10 헌혈부위에서 출혈이 되면 가급적 팔을 가슴보다 높게 들어 올린 상태에서 지혈이 될 때까지 출혈 부위를 눌러주세요.
-
출처 대한적십자사 - 11 트럭 운전사, 다이버, 높은 곳에서 작업하시는 분은 최소 12시간 이상, 항공기 조종사는 최소 24시간 이상 휴식을 취하신 후 업무에 복귀해 주세요.
출처 대한적십자사 - 12 헌혈장소를 떠난 후에 오심, 구토, 현기증 등의 증상(지연성 혈관미주신경반응)이 나타나면 즉시 바닥에 주저앉아 호전될 때까지 무릎사이에 머리를 넣거나, 가능하면 다리를 들어 올려 주세요. 운전 중일 때 이러한 증상이 발생하면 증상이 호전될 때까지 운전을 멈춰 주세요.
이러한 증상은 보통 헌혈 후 1~2시간 이내에 일어나기 때문에 이 기간 동안에는 운전을 하거나 기기를 작동하지 않는 것이 좋으며, 헌혈 후 12시간까지는 격렬한 육체운동은 피해 주세요.
지금까지 헌혈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보다 더 자세한 내용은 대한적십자사 홈페이지를 이용하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헌혈을 하시는데 도움이 되었으면 좋을 것 같고 고귀한 나눔에 동참하는 계기가 되시길 바랍니다.